콘크리트의 이해

  •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의 장단점

    콘크리트는 여러가지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큰 하중에 견디는 견고한 성질을 갖고 있지만 포장과 같이 넓은 면적을 그대로 시공하면 온도변화나 건조수축에 의한 체적 변화의 반복에 의해 균열이 생기는 일이 있습니다.

    한편 아스팔트는 유동하여 변형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하중을 받는 구조의 주재료로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방수성과 점착성이 높고, 가열하면 용이하게 액화하여 취급하기 쉽기 때문에 도포하거나 또는 다른 재료에 침투시켜서 지붕, 수조 등의 방수 피막상재료 등에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재료 본래 갖고 있는 성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 포장은 교통차량의 정도에 맞는 두께로 하고, 또 균열에 대비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줄눈를 설치하고 철강을 넣으면 특별한 수리도 하지 않고 2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지만, 아스팔트포장은 적절한 배합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다 해도 자동차 교통량이 많고 더구나 많은 중량차가 일정 주행 위치를 통과하면 점차 변형하여 바퀴자국이 생겨, 일반적으로 콘크리트포장의 약 1/2 정도의 년수) 정도 이상 완전 한 교통을 위해서는 수리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중량차 소통이 빈번한 구간에서의 콘크리트포장은 건설비와 유지 보수비용을 고려 할 때 경제적입니다.

그러나 교통량이 적은 구간에서의 콘크리트포장은 두께가 너무 얇으면 안되며, 줄눈시공 등 인력에 의한 부분이 많아지므로 아스팔트포장과 비교하여 아무래도 비경제적입니다. 콘크리트포장에 있어서 자동차의 승차감은 별로 좋지 않으나 최근에는 시공법의 눈부신 진보와 줄눈구간을 길게 하는 등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