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의 역사우리나라 시멘트의 역사


남북한 시멘트 생산능력 비교

남북한 시멘트 생산량 비교

남북한 시멘트 주요 정책 추진과정
구 분 한국 북한
해방이후
60년대
  • 1956년 최초의 시멘트 민영기업으로 삼척 시멘트(주) 설립 - 동년 12월에 동양 시멘트에 합병
  • 60년대 초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과 함께 주요 국가사업으로 중점 육성
  • 60년대 초 내수충족에 불과하였으나 꾸준한 시설확장으로 1969년 완전 자급화 실현
  • 3개년 계획('54∼'56)
    - 해주, 승호리, 천내리, 고무산 시멘트 공장복구
  • 5개년 계획('57∼'60)
    - 연산 100∼150만톤 목표
    - 2.8시멘트공장 '62년 완공 (구소련지원)
  • 제1차 7개년 계획('61∼'70)
    - 천내리시멘트공장 확장 추진(80만톤)
    - 2.8시멘트공장 키른 2기증설(68,70년)
70년대
  • 70년대 초 내수를 초과하는 공급 과잉으로 해외시장 개척 추진
  • SOC확충 및 건설수요 확대에 따른 수요증대, 정부지원으로 지속적 성장
  • '76년 1,187만톤 생산(세계 16위), 367만톤 수출(세계 6위)
  • '78년 극심한 공급부족으로 금수조치
  • 6개년 계획('71∼'76)
    - 생산능력 750∼800만톤 확장계획
    - '73년 순천시멘트공장 착공(덴마크 및 일본으로부터 설비도입하여 완공)
    - 2.8시멘트공장에 키른 1기 증설('74)
80년대
  • '83년 하반기부터 종전의 판매 카르텔 해체
  • '86년 이후 국내경기 회복,아시안게임, 88올림픽 등 특수요인과 정부의 각종 건설 공사 추진에 따른 건설경기 호전으로 새로운 도약기 마련
  • 제2차 7개년 계획('78∼'84)
    - 80년대 말까지 생산능력 2,000만톤 확장 계획 추진
    -'82년 만포(8.2)시멘트공장 조업개시
    - 김책제철소 수재슬래그시멘트 생산 시설
  • 제3차 7개년 계획('87∼'93)
    -'93년까지 2,200만톤 생산계획
    -'89년 상원시멘트연합기업소 조업개시
90년대
  • 90년대 들어 신도시개발, 지하철, 고속도로 건설, 서해안 개발사업으로 수요증가
  • '98년 IMF로 인한 건설경기침체로 업계의 경영악화 심화
'90년대들어 무역제일주의와 관련 수출증대를 주요 추진 사업으로 제시
2000년대
  • '02년 월드컵 및 부산아시아게임으로 수요 증가
  • '08년 이후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 감소세를 보임
2000년 이후에도 설비 확장을 위한 신규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90년대 초반 산업수준에 머무를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