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 위해 시멘트人 함께 뛴다

     ȣ : 450             ۼ : 2025-07-31             ȸ : 177             :
 

   - 시멘트협회, 한국세라믹학회와「제52회 시멘트 심포지엄」공동 개최 -
-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 전략 :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주제로 열띤 논의 이어져 -


해마다 국내 시멘트산업의 생산기술, 환경, 품질 부문 ‘시멘트人’이 하나 되어 최신 트렌드의 활발한 교류와 당면 현안 해결을 위해 지혜를 모으는 기술교류회가 원주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국내 주요 시멘트업체를 회원으로 하는 한국시멘트협회[회장 전근식, 現 한일시멘트/한일현대시멘트(주) 대표]는 지난 7월 16일부터 17일까지 양일간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오크밸리리조트 힐스빌리지에서 국내 9개 시멘트업계 임직원 및 개최지 관할 지자체인 강원특별자치도의 최종훈 과장을 비롯해 황해진 회장(한국세라믹학회),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 공주대, 한양대, 부산대 등 국내외 시멘트산업 전문가, 관련 학계 등 약 36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52회 시멘트 심포지엄”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행사 사진은 종료후 송부 예정)

이번 심포지엄에는 쌍용C&E의「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R&D 추진현황 (혼합시멘트 제조기술 분야)」, 아세아시멘트의「시멘트 산업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설비설치 운영계획」, 협회의「KS 제·개정 동향」등 시멘트업계 관계자 3명의 특강이 있었으며 김동일 회장(한국건강진단기관협의회)의 「시멘트공장 근로자들의 건강영향평가 및 임직원 주치의 사업」과 김진효 변호사(법무법인 태평양)의「최근 기후변화 정책 및 주요국 탄소관련 무역규제 동향」등 외부 전문가 특강도 관심을 끌었다.
이 외에도 총 19편(시멘트 탄소중립 세션, 시멘트 제조공정 및 수화 세션)의 논문 발표와 함께 활발한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올해 심포지엄에는 배성철교수(한양대)가 시멘트 관련 분야 미래 인재를 발굴․양성하고 향후 시멘트산업의 경쟁력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추진 중인 산학프로젝트「친환경 시멘트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소개하였으며 공주대, 부산대, 한양대 연구진의 연구논문 9편도 발표되는 등 동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으로 인재 양성의 핵심 기반을 마련해 백년기업을 향한 ‘시멘트人’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한국시멘트협회 전근식 회장은 축사에서 “국내 시멘트 산업은 오랜 기간 국가의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기여한 핵심 기간산업이었으나 2025년을 맞아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함께 지속적인 전기요금 인상 압박, 강화되는 환경 규제 등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도전에 직면했다”고 언급하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되는 SCR 설비 도입, 혼합시멘트 KS 개정 등 현안 중심의 특강과 세션들은 우리 산업의 탄소중립 전환과 제도 변화 대응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며
앞으로도 한국시멘트협회는 정부, 학계,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대한민국 경제발전이 국내 시멘트산업의 역사와 함께 했듯이 한국전쟁 후 폐허속에서 시멘트 제조기술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가운데 출발한 국내 시멘트업계가 제품 및 기술적 측면에서 유럽, 일본 등 선진국 시멘트업계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한데는 시멘트 선진국 기술을 습득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발전시켜온 기술인재의 열정과 노력에 힘입은 바 크다. 특히 시멘트 심포지엄은 과거 시멘트 분야 산․학․연 간 정보교류에 초점을 맞췄다면 최근에는 당면 현안에 대한 해법 모색 위주로 교류의 경향이 변모하고 있어 해를 거듭할수록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지향적이고 품격 높은 세미나로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심포지엄 개최를 주관한 한국시멘트협회 김의철 실장은 “「탄소중립 전략 마련을 위한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이라는 주제로, 우리 업계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소통과 협력의 장을 이어가 탄소중립은 물론 제조공정에서 환경영향 최소화 등의 의미 있는 성과를 내는데 주력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