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멘트협회

시멘트의 역사
기원
우리나라 시멘트의 역사
국내시멘트 산업의 역사
북한의 시멘트 산업의 역사
남북한의 시멘트 비교
국내 시멘트 산업의 위상
제품
제조공정
공정1(채광)
공정2(원료)
공정3(소성)
공정4(제춤/출하)
콘트리트의 이해
용어집
 
 
 

해방
이후
60년대

1956년 최초의 시멘트 민영기업으로 삼척
    시멘트(주) 설립
    - 동년 12월에 동양 시멘트에 합병

60년대 초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과 함께 주요 국가사업으로 중점 육성

60년대 초 내수충족에 불과하였으나 꾸준한
    시설확장으로 1969년 완전 자급화 실현

3개년 계획('54∼'56)
    - 해주, 승호리, 천내리, 고무산 시멘트
      공장복구

5개년 계획('57∼'60)  
    - 연산 100∼150만톤 목표    
    - 2.8시멘트공장 '62년 완공 (구소련지원)

제1차 7개년 계획('61∼'70)
    - 천내리시멘트공장 확장 추진(80만톤)
    - 2.8시멘트공장 키른 2기증설(68,70년)

70년대

70년대 초 내수를 초과하는 공급 과잉으로
    해외시장 개척 추진

SOC확충 및 건설수요 확대에 따른 수요증대,
    정부지원으로 지속적 성장

'76년 1,187만톤 생산(세계 16위), 367만톤
    수출(세계 6위)

'78년 극심한 공급부족으로 금수조치

6개년 계획('71∼'76)  
    - 생산능력 750∼800만톤 확장계획   
    -'73년 순천시멘트공장 착공(덴마크 및 일본
       으로부터 설비도입하여 완공)
    - 2.8시멘트공장에 키른 1기 증설('74)




 

80년대

'83년 하반기부터 종전의 판매 카르텔 해체

'86년 이후 국내경기 회복,아시안게임,
    88올림픽 등 특수요인과 정부의 각종 건설
    공사 추진에 따른 건설경기 호전으로 새로운
    도약기 마련


제2차 7개년 계획('78∼'84)  
    - 80년대 말까지 생산능력 2,000만톤 확장
       계획 추진
    -'82년 만포(8.2)시멘트공장 조업개시
    - 김책제철소 수재슬래그시멘트 생산 시설

제3차 7개년 계획('87∼'93)  
    -'93년까지 2,200만톤 생산계획  
    -'89년 상원시멘트연합기업소 조업개시

90년대

90년대 들어 신도시개발, 지하철, 고속도로
    건설, 서해안 개발사업으로 수요증가


'98년 IMF로 인한 건설경기침체로 업계의
    경영악화 심화

'90년대들어 무역제일주의와 관련 수출증대를
     주요 추진 사업으로 제시

2000
년대

'02년 월드컵 및 부산아시아게임으로 수요
    증가

'08년 이후 부동산 및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
    감소세를 보임

2000년 이후에도 설비 확장을 위한 신규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90년대 초반
    산업수준에 머무를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