ѱøƮȸ
 

[2004-06] (권두시론)우리나라 시멘트의 발전방향

     ȣ : 159             ۼ : 2004-10-25             ȸ : 42326            
 

우리나라 시멘트의 발전방향

이 리 형 (대한건축학회장)

우리나라에서 시멘트를 생산하게 된 역사는 1919년 일본 오노다(小野田) 시멘트에 의하여 평양공장이 건설된 이후부터이다. 이는 조셉 아스프딘(Aspdin . J)의 포틀랜드시멘트 제조법에 대한 특허출원을 기점으로 시산하는 시멘트의 역사 180년보다 무려 100년 정도 짧은 85년이지만, 세계 5위의 시멘트 생산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는 우여곡절도 많았고, 반성할 점도 많았는데, 이와같은 현실에서 미래의 우리나라 시멘트가 이루어야 할 발전방향을 고찰해본다.

즉, 우리나라의 시멘트 생산역사를 시기별로 그 특징을 구별해보면 일본강점기하의 발전은 나름대로 양적 증가는 많지 않았을지라도 품질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해방 이후 6.25 동란을 거쳐 박대통령의 새마을운동 이전의 혼란기에서는 암흑기라고 할 만큼 시멘트 생산량이며 품질면에서도 거의 주목할 만한 것이 없었으나, 새마을운동 이후 IMF 지원체제하의 경제환란기 이전에서는 세계적으로 예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비약적인 발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시멘트산업이 발전하여 연간 시멘트 생산량이 5천만톤을 넘어 국민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1톤 이상 되는 전세계에서 으뜸가는 건설선진국으로 발돋음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다보니 우리나라의 시멘트 생산체계는 언제나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상태가 되어 당연히 대규모 키른을 갖고 시멘트를 생산하는 대량생산체제로 발전되었으며, 품질도 단일화체제로 발전하게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뜻하지 않게 20세기말 우리나라는 경제적 대혼란기인 IMF 지원체제에 놓이게 되고, 그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시멘트산업은 또 하나의 커다란 변혁을 이루게 되었다. 즉, 종전과 달리 수요는 부족하고 공급이 과잉되는 상태가 되고, 몇개의 대기업은 외국기업과 합작으로 경영권이 국외로 넘어가는 사태가 발생하며, 환경문제 등과도 맞물려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 혼화재의 보급과 관련, 저렴한 외국산 시멘트 수입 등 경쟁체제상에서도 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래의 시멘트산업과 관련하여 우리의 대응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 반드시 이것이 답이라고는 할 수는 없겠지만 미래의 시멘트산업이 안정기를 거쳐 환경문제와 연관하여 유럽의 시멘트 산업과 같이 쇠퇴기로 접어 든다면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방향을 잡아 연구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첫번째는 혼합시멘트 생산에 시멘트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관여할 필요가 있다. 즉, 종전에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환경문제 등 시대의 흐름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최우선적으로 플라이 애쉬 시멘트 및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적극적으로 생산 보급하는 일이 되어야 할 것이고, 기타 3성분계 시멘트, 팽창 시멘트, 실리카 퓸 시멘트, LSP 혼합시멘트, CKD 혼합시멘트, 에코 시멘트 등을 들 수 있다.

둘째로는 현상태의 대형 키른으로 가능할 수 있는 다양한 시멘트 생산을 모색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일이다. 즉, 1종에서 5종에 이르는 다양한 시멘트의 생산은 물론이고, 1종이라도 강도 등급, 내구성 등급 등을 구분하여 다양화하는 것인데, 그 방법으로는 전국적인 시멘트 생산공장 측면에서의 재편도 있겠지만, 비중차, 분말도, 성분구분 등의 관점에서 공장별 대응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장의 개보수, 기타 추가건립 생산라인 등에서는 소규모 특수 시멘트 제조공장을 건립하는 방안도 기대해봄직하다.
셋째로는 시멘트 품질의 고급화이다. 소량의 시멘트를 사용하여도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시멘트의 생산은 무엇보다 우선하게 됨으로써, 일본, 미국 등의 선진국 수준의 시멘트 품질을 확보하여 고강도,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응토록 하여야 하고, 기타 고벨라이트계 시멘트, 연속입자분포 시멘트, 구상화 시멘트, 표면개질 시멘트, 저발열·저균열 시멘트 등 고품질화하여 미래의 고성능 콘크리트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멘트 수요자에게 효율적인 활용과 관련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일 것이다. 일례로 건설관련학과 대학생들에게 시멘트 제조 및 활용에 대한 교육 및 견학기회를 제공해준다든지, 각종 시멘트 회사별 시멘트제품 특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일이며, 각종 시멘트를 이용할 경우 28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추정식의 연구 및 제안 등 시멘트·콘크리트 관련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소상히 제공하는 일이다.

끝으로 인류문화의 진전 및 과학기술의 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시멘트 및 콘크리트도 예외일 수는 없는 일로서, 이제까지는 양적인 발전에만 치중하고 품질에 대하여는 별도로 고려하지 않았다면, 이제부터는 모든 경쟁의 관건이 품질문제로 전환해야 하고, 또한 환경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와같은 것이 기본이 되어 외국에까지 수출하는 선진 시멘트 기술국으로 우뚝서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 생각해본다.

Ʈ